학술논문
STEAM 프로그램의 접근 가능성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92
- 영문명
-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on the Accessibility to STEAM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윤희(Yunhee Choi) 김미점(Mi-Jum Kim) 김용진(Yong-Jin Kim)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9권 제3호, 125~1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nhance the use of STEAM programs by surveying teachers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status of STEAM programs develop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To this end, 85 elementary and 53 secondary school teachers having experience in STEAM education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bout 21.7 % of the responding teachers did not have access to STEAM programs provided by the KOFAC. STEAM programs were often applied to regular school hour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eachers often applied the STEAM program to classes by improving it (56.1%), and primary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STEAM program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he efficient spread of STEAM education, teachers were hoping to be provided excellent STEAM programs that are practically applicable in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KOFAC s STEAM site, and to be trained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develop STEAM programs. In addition, the key ways to enhance the use of STEAM programs were proposed through narrativ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목차
I. Introduction
II. Research Methods
III. Results and Discussion
IV.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지구과학I ‘아름다운 한반도’ 단원 STEAM 교수학습활동의 효과 분석
- STEAM 프로그램의 접근 가능성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 Predicting Attention and Memory Ability based on the Combination of EEG and HRV data in Children
- 교육연구에서 f-NIRS의 실제 측정과 적용을 통한 두뇌 연구의 탐색
- 고체의 결정구조를 이용한 STEAM 통합 교육 수업 자료 개발
- 과학 탐구에서 사용한 개념의 일치성
- 인지양식 검사에 따른 초․중등교사의 뇌 선호와 음악 교수스타일 비교 연구
- 수학 교실 문화가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작업기억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소고
- ‘좌우대칭 자’를 활용한 5학년 학생들의 점대칭도형의 의미 이해
- 교육실습에서 시선 비디오를 활용한 교수 반성의 담화 분석
- Antioxidant Effects of Pyrogallol in Neural Cells and Mice Brain
- 단체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작업기억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