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조도시 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창조적 학습도시 발전전략에 대한 새로운 논의 -

이용수  119

영문명
Culture & Arts Education as a strategy for creative city - New discussion on the strategy to develop learning city -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병준(Byung-Jun Yi) 박응희(Eung-Hee Park) 박지연(Ji-Yeon Park)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5권 제2호, 107~1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창조도시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교육과 학습의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높아졌다. 2000년 이후 문화예술교육진흥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정비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을 평생교육의 연장선속에서에 대한 논의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발전전략인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속에서 바라보는 것도 흥미롭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창조도시논의는 크게 창조적 환경에 대한 논의, 창조인력에 대한 논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 그리고 문화발전에 대한 논의 네 가지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창조도시에 대한 논의중 문화와 예술을 경제에 활용하는 의미에서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나 이러한 논의는 매우 근시안적 사고라고 판단된다. 창조도시는 개별 도시가 가지는 자발적 시스템속에 창조성과 지역성, 네트워크와 미학화, 그리고 학습과 지속가능성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또 그래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창조도시의 핵심가치는 바로 문화예술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프로젝트성 보다는 창조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장기적인 비전속에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하며 예술체험을 넘어서 문화역량을 강화하고 학습망을 구축하며 문화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has become active recently, th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learning and creative city was increased. While law and system for promoting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been reorganized since 2000, Culture & Arts Education spreads into schools and society. However, it s meaningful to discuss Culture & Arts Education simply in an extension of lifelong education but it s interesting to examine it in the correlation with creative city which is a strategy to develop the city based on culture and arts. At present,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is unfolded by dividing largely into 4 discussions; discussion on creative environment, discussion on creative man power,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and discussion on cultural development. Among the discussions on creative city, the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which means to apply culture and arts to economy is the most active but it is judged to be a very short-sighted thinking. The creative city is seeking core values such as creativity / regional characteristic, network / aestheticization and studying / sustainability in the voluntary system of each city as well as must to seek them. Those core values of creative city are related with Culture & Arts Education much closely in that aspect. Current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an important strategy for making creative city, rather than by simple project. Therefore, Culture & Arts Education must to guarantee sustainability in a long-term vision, strengthen cultural capability beyond the art experience, establish learning network and advance to the direction cultivating cultural lead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문화예술교육의 위상변화
Ⅱ. 창조도시의 특성과 접근방법
Ⅲ. 창조도시도시담론에 대한 두 가지 시각
Ⅳ. 창조도시의 작동원리와 핵심가치
Ⅴ. 창조도시의 구성 영역
Ⅵ. 나가는 말 : 문화예술교육으로 창조도시 만들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준(Byung-Jun Yi),박응희(Eung-Hee Park),박지연(Ji-Yeon Park). (2010).창조도시 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창조적 학습도시 발전전략에 대한 새로운 논의 -. 문화예술교육연구, 5 (2), 107-130

MLA

이병준(Byung-Jun Yi),박응희(Eung-Hee Park),박지연(Ji-Yeon Park). "창조도시 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창조적 학습도시 발전전략에 대한 새로운 논의 -." 문화예술교육연구, 5.2(2010): 107-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