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율탈춤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
이용수 56
- 영문명
-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Unyul Mask Dance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희(Jeong-hee Kim) 이강순(Kang-soon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5권 제2호, 77~9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은율탈춤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 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은 은율탈춤 학습을, 비교집단은 댄스스포츠 학습을 2010년 3월부터 5월까지 1차시에 4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똑같은 설문지로 사후검사를 통하여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은율탈춤 학습이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Unyul Mask D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0 male and female 5th-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questionnaire.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Unyul Mask Dance, the comparative group were taught Dancesports from March to May, 2010, 1-2 sessions per week and a total of 12 sessions, and 40 minutes per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f Unyul Mask Dance had been changed.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