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의 정의와 특성에 기반한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이용수  502

영문명
A Guideline for Contents and Method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장기범(Ki-Beom Jang)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5권 제2호, 19~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악강사풀제를 기점으로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 그리고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문화관광부가 추진해온 문화정책―‘문화예술교육’이 수행된 지 어언 7년이 지났다. 적잖은 정책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국민은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이나 프로그램에 익숙하지 않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념과 정체성, 그리고 그 실효성을 점검할 필요성이 있다 라는 관점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이라는 용어가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병렬적 연결로 이루어졌다는 가정 아래, 일차적으로 문화교육을 규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에 대한 정의를 배경으로 문화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특성과 정의에 기반 하여 문화교육의 정의와 문화의 교육적 당위성을 논하였다. 희귀성, 유용성, 신분성의 가치 기준의 관점에서 문화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문화교육에 대한 교육적 당위성과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보다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교육내용으로 포함해야하며, 기존 예술교육과의 차별성을 위한 정책의 철학적 기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반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2003,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hereinafter MCT) in Korea has launched an arts education policy call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 diverse programs under the tit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executed throughout Korea including schools, cultural centers, community centers and even in prisons and military bases. However, most Koreans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 This paper was initiated on the belief of that the wor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coined words of cultur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 Th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 it is necessary procedure to delineate the meaning of culture education and that of arts education first.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lineate a meaning of 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 a guideline for contents and methods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d culture . In order to attain the stated goals of this paper, this writer investigated related literature, government reports and research studies on culture and cultural education. Some definitions on culture which were drawn in dictionaries and by scholars in that field were introduced and discussed. Based on thos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 rationale for 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Eight suggestions for choosing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were made and the same number of principle was suggested for methods of teaching cultural contents in education.

목차

I. 서론
Ⅱ. 본론
Ⅲ.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기범(Ki-Beom Jang). (2010).문화의 정의와 특성에 기반한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문화예술교육연구, 5 (2), 19-37

MLA

장기범(Ki-Beom Jang). "문화의 정의와 특성에 기반한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문화예술교육연구, 5.2(2010): 19-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