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도시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부산광역시의 - 노인교실과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이용수 256
- 영문명
 - The educational research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i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senior school & senior welfare center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응희(Eung-Hee Park) 한현우(Hyun-Woo Han) 정미경(Mi-Geong Jung) 이병준(Byung-Jun Yi)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1호, 125~1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균 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노인들은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면서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자율적인 개인으로 생활해 줄 것을 요구 받고 있다. 다원화되는 생활양식과 생물학적 변화 속에서 노인들은 자기실현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사회참여를 적극적으로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인학습자들의 수요는 삶의 질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과 사회의 창조적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과 이론적 배경을 논의보고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의 인적ㆍ물적 자원의 제반 환경적 맥락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교실을 비롯한 노인문화예술교육 수행기관들의 재정상태가 그리 높지 않아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투자가 어려우며 양질의 프로그램과 강사인력 및 담당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강조되면서 평생교육의 영역으로서의 노인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은 그들의 삶의 질과 정서적․사회적 유대감 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노인들이 자신의 생애사적 경험과 체험들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하면서 자신에 대한 의미를 재발견해가는 학습과정으로 연계될 수 있는 기획 및 운영 등에서의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영문 초록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s, corresponding to changing society, the aged is now required to live as a self-initiated individual in various areas. In the diversified lifestyles and biological changes, the old people s self-realization desire is elevating. They are trying to participate in society actively and rediscover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demand of the aged learners has emphasiz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the way of not only realizing the quality of life but enhancing the creative competitiveness in the region and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policy direction and theory background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Also, it seeks for regional context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to facilitate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propounded. Acting organizations who provide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are financially embarrassed, so it is hard to plan and invest in the senior programs and improve professionality for senior education trainers. As the aging society has come, people realiz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old people as a lifelong education. Especially,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old people is more important to improve senior s life quality and strengthen the social and emotional bond. Thus,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old people is suggestive in operating and planning curriculum that related to rediscovering themselves and restructuring their life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view of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 활성화 방안과 정책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