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강화 방안 연구: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4

영문명
Fostering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Centering on Visual Art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정효(Jeong-Hyo Kim)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1호, 7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제화·세계화의 추세와 함께, 한국 사회는 유학생,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등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이민자의 수가 증가와 함께 다문화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인구 구성의 변화는 학교에서 다양한 문화적·민족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수의 다문화 배경의 학생들과 다수의 한국 학생들이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든 학생들이 문화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는 교육이 요구된다. 다문화 시대에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으로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이 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성공적인 학습경험을 이끌어 내는 데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시대에 요구되는 교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하여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문화적 역량의 특성들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미술 교육을 통해서 육성될 수 있는 다문화 역량과 미술 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다문화 역량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 외국의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현장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증진의 예를 제시하고, 교사의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Korean society has become multi- cultural in terms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foreign workers. The radical change of population of Korean society signifies the increase in number of the students with multi-cultural, ethnic background in schools. Education is needed for both a minority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a majority of Korean students, which helps promote the capability of the students to culturally respond to the world, and all of the students to reach self-realization in the future. It is culturally responsive competence of teachers that is the critical factor in leading to students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in school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required to raise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and responsiveness through visual arts. First, the concepts of 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are investigated by centering on what scholars have studied. Next, the 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fostered through visual arts and one of teachers necessary for teaching visual arts are discussed. Last, the examples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at are set up for nurturing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at universities and a community of practice of elementary art teachers are introduced as an exemplar to show how art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can be developed through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Korea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re discussed.

목차

I.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II. 교사의 다문화 역량
Ⅲ. 미술 교사의 다문화 역량
Ⅳ. 다문화주의 미술교육과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통한 문화의 이해와 사회 통합
V. 대학의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 공동체에서의 다문화 역량의 증진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효(Jeong-Hyo Kim). (2011).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강화 방안 연구: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6 (1), 71-97

MLA

김정효(Jeong-Hyo Kim). "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강화 방안 연구: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6.1(2011): 7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