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판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상호매체성: 바그너 오페라와 한국 판소리의 비교연구
이용수 174
- 영문명
- Intermedialiät in der Sound-Kommunikation: Eine vergleichende Studie von Musikdramen Wagners mit koreanischer Oper Pansori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재(Seong-Jae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1호, 15~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판소리와 바그너의 오페라가 수행하는 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 구현되는 상호매체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상호문화성을 발견한 후, 세계 무형문화재로서 판소리의 세계화 가능성을 탐색해 본다. 판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문학작품, 연창자 음성, 고수의 북소리와 추임새, 청중의 추임새가 서로 간섭하고 결합되면서 상호매체성이 구현된다. 바그너의 오페라(뮤직드라마)가 연출하는 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 일어나는 상호매체성은 드라마의 문장매체, 드라마를 노래로 부르는 가수들의 음성매체, 거대한 오케스트라의 기악매체, 극장공간의 음향학적 장치, 무대그림의 시각매체 그리고 관중의 갈채소리가 상호관계를 맺음으로써 판소리보다 훨씬 더 복합적으로 구현된다.
판소리에는 바그너 오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두 가지 고유한 상호매체성이 존재한다. 그 하나는 서양의 오페라와는 달리 작품의 배경을 이루는 무대그림이나 장치를 ‘소리의 원근법’으로 대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청중이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추임새로 연창자와 고수의 연행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면서 작품의 방향을 유도하는 것이다. 판소리와 바그너 오페라와의 비교에서 확인된 상호문화성은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집단무의식으로서 ‘원형’이 음악을 위한 드라마의 소재로 사용된다는 사실이다. 판소리의 세계화는 판소리 특유의 상호매체성을 부각시키고, 한국인의 목소리와 북소리로 인류 보편적인 원형을 일깨우기 위해 세계 청중의 깊은 잠재 의식구조 속으로 침투하는 데 그 성패가 달려 있다.
영문 초록
Diese Studie zielt darauf ab, Erscheinungsformen der Intermedialität in der Sound-Kommunikation von koreanischer Oper “Pansori” und Musikdramen Richard Wagners zu analysieren und für die Entdeckung der Interkulturalität zwischen beiden Meisterwerken miteinander zu vergleichen. Dann kommt es in Frage, wie die Pansori als Kulturgut der Menschheit von UNESCO eine Globalisierungsmöglichkeit hat. In der Pansori Kommunikation erscheint die Intermedialität auf jedem Platz, indem sich literarische Werke, Gesangsweisen eines Sängers, Taktton und begleitende “Gut!-Sage-Reaktion” eines Trommelschlägers und spontane “Gut!-Sage-Reaktion” des Zuhörers miteinander verbinden und ineinander einmischen. Für die Musikdramen Wagners verwiklicht sich die Intermedialität in einem Opernhaus durch die Kombination von literarischen Werken, Gesangsweisen der Sänger, Klang des Orchsters, Bühnenausstattungen und -bildern und Beifall der Zuhörer.
Zum Unterschied von Musikdramen Wagners gibt es in der Pansori Kommunikation zwei eigenartige Formen der Intermedialität. Die eine stellt “Perspektive des Gesangstons” dar, durch die Bühnenausstattungen und -bilder bei den Opern ersetzt wird. Die andere ist die “Gut!-Sage-Reaktion” des Zuhörers, die während der Ausführung der Pansori spontan begleitet wird und auf die Vorführung des Werks einen großen Einfluss nimmt. Bei der Vergleichung der Pansori mit Musikdramen Wagners läßt sich eine Interkulturalität feststellen, indem “Archetypen” im kollektiven Unterbewußtsein der Meschheit als Stoffe für die beiden Musikmeisterwerke verwendet werden. Neben der Betonung dieser Interkulturalität hängt die Globalisierung der Pansori davon ab, wie der koreanische Gesangs- und Trommelston in die tiefe Bewußtweinsstruktur der Weltzuhörer hineindringen kann, um das Unterbewußtsein der Menschheit zu erwecken.
목차
Ⅰ. 서론
Ⅱ. 소리 커뮤니케이션의 상호매체성: 이론적 논의
Ⅲ. 판소리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상호매체성
Ⅳ. 바그너 오페라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상호매체성
Ⅴ. 판소리와 바그너 오페라의 상호문화성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