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 역량 강화
이용수 1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of a museum educator s capac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호(Jong-Ho Choe)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6권 제1호, 43~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자질과 역할을 제시하고, 박물관에서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문화다양성 이해를 통해서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국 문화에 익숙한 사람이 타민족의 문화적 이질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전통과 문화향유권을 인정하고,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편견을 없애고, 관용을 통해서 범민족 공동체 성원으로서 공생공존 그리고 화애화합 할 수 있도록 타문화 전시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타문화전시 연계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자민족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자민족문화의 정체성과 전통을 이해하고, 범민족 공동체 성원으로서 타민족의 인권과 문화향유권, 문화다양성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특히 다문화체험학습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타문화전시 연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지구촌 문화에 대한 이해와 다국어 사용에 대한 직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박물관 에듀케이터와 다문화교육 참가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물을 통한 직관교육과 오감을 통한 체험학습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the qualification and role of a museum educator, for the purpose of reinforcement of a museum educator s capac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examine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useum, and to suggest the scheme for the capacity-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versity. One who is accustomed to his native culture, understands difference of the other ethnic culture, acknowledges the tradition and culture right of the other ethnic group, casts away a prejudice base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should able to exist and live, love and harmony each other as a member of the pax-ethnic community through tolerance and furthermore should able to analysis, plan, develop, implement, evaluate and feedback in sustainabl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so on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 of the other cultures. One should understa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one s ethnic culture, and should have actively to utilize particularly multi-cultur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 and so on as a member of pax ethnic community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ractise the human right, culture right, cultural diversity and so on.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 we do reinforce a museum educator s capacity-building, to build the capacity to analysis, plan, develop, implement, evaluate and feedback the othe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the exhibition of the other cultures, and should continuously have to practise the job education of understanding a global culture and communicating in different language. Thus we need actively to utilize the intuitive education through original object and the experience learning through five senses to perform effectively the multi-cultur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 museum educator and the participants of the multi-culture education.
                    목차
Ⅰ.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자질과 역할
	                       
	                          Ⅱ. 박물관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이해
	                       
	                          Ⅲ.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문화교육 역량 강화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