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성찰 탐색: ‘정몽주 살인사건’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297
- 영문명
- Research on Reflection of 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History Class among Social Studies: Narrative in ‘The murder of Jeong Mong-ju’ Clas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홍미화(Hong Mi Hwa)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7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수업설계와 실행과정에서의 성찰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수업의 의미를 탐색한 연구이다. 예비교사들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관계맺고 그 관계를 중심으로 사건을 해석하였으며, 역사적 해석을 기반으로 ‘정몽주 살인사건’ 내러티브를 생성하였다. 그들이 구성한 좋은 수업은 1)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사고력을 결합하여 흥미와 진지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수업 2) 교사와 학생이 역사적 사건에 대하여 질문과 대답을 이어가는 수업 3) 과거의 시간으로 학생을 초대하여 인물의 입장을 이해하는 수업 4) 사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시키는 내러티브적 수업이다. 그들은 실제 수업을 실행하면서 1) 사건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여야 자신의 입장을 제시할 수 있으며, 2) 인물과 사건의 관계를 내러티브 방식으로 가르치는 일은 효과적이지만 쉽지 않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3)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사고력을 균형있게 가르치는 일은 매우 어려우며, 4) 사건을 내러티브로 구성하는 일 자체만으로는 학생들이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도 알았다.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지적 수준과 관심 영역을 활용하여 그들 스스로 역사이야기에 몰입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좋은 역사수업은 교사가 만든 역사이야기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역사이야기가 모두 존재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과 수업구성과 실천 경험에 담긴 예비교사의 성찰과정과 수업이야기를 통하여 초등학교 사회과 역사영역 수업의 난제를 이해하고 그 고민을 공유하여 교사교육과 역사교육의 새로운 대안을 찾아 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 history class among subjec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focusing on reflection of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ers created a narrative for ‘the murder case of Jung Mong Ju’. The desirable class they constructed includes; 1) a class that satisfies both interest and seriousness simultaneously by combining the historical events and thoughts; 2) a class that both teacher and students continuously make questions and answers together on the historical events; 3) a class that makes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ical event by inviting them into a certain time point of the past and enable them to speak about their position. While actually conducting a class, they confirmed that 1) students should fully understand a situation of certain event to present their own position and 2) classes with narrative style for describing an association between events and characters wer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3) it was a big challenge to teach historical facts and thoughts in balance. History class can be a meaningful class when the stories that are being created by both teacher and students are all alive.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예비교사의 역사수업 성찰 과정 이해
Ⅳ. 예비교사의 수업 성찰이 남긴 이야기
Ⅴ. 예비교사들이 역사수업을 한다는 것의 의미
Ⅵ.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