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 활성화 방안: 초등사회과 수업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667
- 영문명
-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in Problem-based Learning: Focused on the Applying to Primary Social Studies Clas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김다원(Kim Da Wo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7권 제1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래서 문제중심학습은 2015개정교육과정에서도 긴요하게 적용되기를 요구받고 있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특히, 사회과교육은 민주시민성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 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의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중심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분석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의 일반적인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위해 학습동기, 메타 인지전략 활용, 상호작용 활성화, 자기성찰 등 4가지 학습전략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전략적 학습요소들은 문제중심학습의 각 단계에 특화되어 적용된다기 보다는 전 단계에서 유기적으로 연계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발견 및 문제정의 단계에서는 학습자주도적 문제발견과 문제정의가 이뤄져서 이후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가 촉발되도록 하는 것과 문제해결 계획 및 탐색 활동 단계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자원을 검토, 관리하면서 자신의 경험 및 지식과 연계하여 조직화된 전략을 설계하도록 하는 과정이 자기주도적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는 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roblem-based learning is recognized as a model tha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lem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ducation linked to the learner s real life. Therefore, problem-based learning leads us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 s thinking power and the learner 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is why problem-based learning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teaching-learning model today. Especial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the inquiry learning is applied as the main learning method. 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s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hat can lea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do this, I analyzed the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explored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by reviewing previous problem-based learning studies. I suggested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for self-directed learning by applying four strategies,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interaction, and self-refl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중심학습
Ⅲ.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방안 탐색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