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도서관 사서와 사서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활동 수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Teaching Activity of Librarian and Librarian Teacher in School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서석봉(Suk-Bong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독서교육학회지』제5권 제1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교수활동의 주체인 사서와 사서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활동 수준에 관한 차이를 입증하기 위해, 그들의 협업 및 단독수업 실태, 교사효능감 수준, 양자 간의 효능감 차이, 교수활동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교사효능감은 도서관운영영역이 높았으나 수업영역에서 가장 낮았고 사서교사보다 사서의 교사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교수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로 학교도서관 사서와 사서교사의 교수활동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librarian s teaching activities to affect the librarian s self-efficacy in teaching librarians and librar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howed that teachers efficacy is the lowest in the area of library operation, but the lowest in the class area. The librarian s teacher efficacy is lower than librarians teachers. This study requires continuous research to develop professionalism of teaching activities of school librarians and libraria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