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녀의 게임중독 극복을 위한 부모상담 경험 연구
이용수 704
- 영문명
- A Study on Parent Counseling Experience for Overcoming Children’s Game Addiction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오연수(Oh Yeon Soo)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6권 제1호, 133~1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의 게임중독 극복을 위한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게임중독 극복을 위한 부모상담 경험을 사례중심으로 탐색하여 부모 상담을 이해하고 환경을 파악하여 현장에서 실천적 대안과 효과적인 정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자녀의 게임중독 극복을 위한 부모 상담을 경험하고 상담 종결된 시점이 1년 미만인 어머니 5명과 아버지 5명을 대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최종적으로 107개의 개념들과 32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자녀의 문제 표면화’, ‘삶의 늪에 빠짐’, 중심현상은‘현실부정’, ‘양육태도 반성’, ‘상담의 필요성 인식’ 맥락적 조건으로는 ‘직면하기’, ‘바라보기’, ‘힘든 양육환경’이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수용’, ‘성찰하기’, ‘전환을 위한 갈등’이었으며 그 결과 ‘상담을 통한 성숙된 모습’, ‘관계 변화’, ‘다시 찾은 행복’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게임중독 극복을 위한 부모 상담내용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여 사회 복지적 개입에 실천적 대안과 정책 모색에 중요한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ental counseling experience to overcome the game addiction of children and understanding the parent s counseling environment to find practical alternatives and effective policies in the field. The analytical method i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for five mothers and five fathers who had experience of parental counseling for their child s game addiction treatment and whose consultation time was less than 1 year.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107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In axis coding, paradigm analysis shows that the causal conditions are ‘recognizing the problems of the child’ and ‘falling into the swamp of life’. The central phenomenon is ‘refusal of reality,’ ‘reflec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recognition of need for counseling.’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 ‘face to face,’ ‘look,’ and ‘difficult parenting environment.’ The inter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cceptance of reality,’ ‘reflection,’ and ‘conflict for conversion.’ As a result, ‘maturity through counseling,’ ‘change of relationship,’ and ‘happiness found again’ appe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stematize the contents of parent counseling for overcoming their child s game addiction and provide significance as a basic data for policy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