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학부모운동 30년의 성과와 의의
이용수 308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the past 30 years of the Parents’ Movement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장중(Kim Jang-Joong)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6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지난 30년간 면면히 이어온 한국 학부모운동을 큰 틀에서 조망하고, 운동의 주요 성과와 의의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운동의 흐름과 진행과정을 고찰하였으며,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던 학부모운동이 최근 들어 침체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학부모운동의 주요 성과는 학부모의 교육주체화, 아동(학생)의 보호와 존중, 학교운영과 교육문화의 새로운 변화, 정부와 학교 및 이익집단의 감시와 견제, 학부모가 바라던 교육정책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학부모운동은 학부모 스스로 펼친 주체적 운동, 교육문화를 바꾼 의식개혁 운동, 모두의 행복을 위한 교육공동체 살리기 운동, 미래지향적인 신사회 운동, 여전히 진행 중인 미완의 운동이라는 교육적⋅사회적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akes a view of the overall trend of the Korean parents’ movement over the past 30 years, and comprehensively evaluates and reviews the main achievements of the movement and its significance. The active parents’ movement has recently been undergoing a change and has shown signs of stagnation. The achievements of the parents’ movement can be said to be the educational subjectivization of parents, the protection and respect of children(students), the new changes in school management and education culture, the monitoring and checking of the government and interest group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olicy that parents wanted. The education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parents’ movement is that it is a self-directed and consciousness-reform movement that has newly changed education culture. It is the movement that aims to save the educational community for everyone’s well-being and the future-oriented New Society movement that continuously works towards ongoing unfinished work.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학부모운동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Ⅲ. 학부모운동 30년의 흐름과 전개
Ⅳ. 침체되고 있는 학부모운동
Ⅴ. 학부모운동 30년의 성과와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