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父母의 양육태도와 중학생 자녀의 공감능력의 관계: 부와 모의 설명효과 비교
이용수 284
- 영문명
- Relation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Empathy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황희정(Hwang Heejung) 임성택(Lim Sungtaek)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6권 제1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공감능력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표집은 강원, 경기 지역의 5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10부 중 성실히 답한 38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중 남학생은 171명, 여학생은 213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Pearson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친밀․합리적인 양육태도는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상관 관계를, 통제, 과잉보호, 방임의 양육 태도는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과 대체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공감능력에 대해 설명력이 컸으며, 특히 친밀․합리적인 태도가 공감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양육태도가 논의되었고, 나아가 체계적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자녀를 위한 사회 안전망 확보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empathy. The subjects were 384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five different school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zero-order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the stud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rents’ intimate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abilities to feel empathy. In contras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rents’ authoritarian, over-protective, indulgent attitudes and students’ empath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students’ empathy. The mothers’ rearing attitudes were more influential on students’ empathy than the fathers’. Especially, intimate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fact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mpath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educational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ar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