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50+세대의 인식 연구 - 커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99

영문명
Research on 50 plus generation’s perspectives about Community Dance
발행기관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최보결(Bogyeol-Choi)
간행물 정보
『표현예술치료연구』표현예술치료연구 제1권 제1호, 101~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50+세대의 사회적 관계와 심리적 변화들이 주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회복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의 커뮤니티댄스 역할과 확장 가능성을 알기 위한 기초인식 연구이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 커뮤니티댄스를 체험한 집단은 개인 내면의 성장, 인간성 회복, 소통을 중요가치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커뮤니티 댄스에 관해 소통적, 체험적, 인간적, 치유적, 본질적이고 예술적이라는 가치를 키워드로 꼽았으며, 그 중 자기 치유와 누구나 할 수 있는 춤이 핵심 단어가 되었다. 미체험자 집단은 자아성장 및 계발추구, 가족중심, 생활방식, 자기건강을 중요가치로 여기고 있었다. 커뮤니티 댄스는 공동체와 타인에 대한 이해가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으며, 개인의 신체적 상태와 함께 대인관계와 사회적 측면의 변화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댄스 체험 전후의 인식에서 체험자는 자신의 내면적인 면과 신체적인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커뮤니티댄스는 내면의 성장과 인간성 회복을 높은 가치로 인식되며 소통의 중요한 도구가 된다는 인식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50+세대를 위한 커뮤니티 댄스의 다양한 계발이 요구된다는 것에 함의하는 연구가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basic research on how people get aware of the role and extensibility of community dance as a tool with which 50+ generation (the elderly of 50 and over) can relieve and recover from stress their soci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may cause. For this researc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volving two different groups: people who experienced community dance and unexperienced ones. As a result, the group with the people who experienced community dance regarded personal inner development, recovery of humanity, communication as precious value. They selected ‘communicational, experiential, humane, sanative, fundamental and artistic’ values as the keywords for community dance and among them, self-healing and ‘Creedence’ dance were the most salient words. The group with unexperienced ones considered the growth and on-going development of self, family-oriented way of thinking, lifestyle and their health as important value. They expected that community dance would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ir community and other people and also expected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ther social aspects, along with in personal physical conditions. On the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community dance, the subjects in the dance-experienced group rated their inner and physical changes positively. Hereby, we could draw an awareness that community dance is recognized as high value for the inner growth and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becomes an important tool for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developments of community dance for 50+ generation are required from now 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4. 연구참여자
Ⅱ. 분석 및 결과
1. 체험자군 및 미체험자군 비교분석
Ⅲ.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보결(Bogyeol-Choi). (2018).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50+세대의 인식 연구 - 커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표현예술치료연구, 1 (1), 101-127

MLA

최보결(Bogyeol-Choi). "커뮤니티 댄스에 대한 50+세대의 인식 연구 - 커뮤니티 댄스 체험자와 미체험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표현예술치료연구, 1.1(2018): 10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