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03
- 영문명
- Using Traditional Play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표현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강민진(Kang Min Jin)
- 간행물 정보
- 『표현예술치료연구』표현예술치료연구 제1권 제1호, 59~9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K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한부모 가정 아동으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8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시에 위치한 L지역아동센터를 다니는 초등학교 1-3학년인 한부모 가정 아동 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1회기 100분씩 총 15회기의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위한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비모수 검증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통계 검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동적 학교생활화(KSD)를 실시하였으며,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관찰되는 집단의 변화를 통해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는 실험집단 한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한부모 가정 아동들은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감과 성취감이 향상되고 적극적인 태도로 집단과 상호작용하려는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부모 가정 아동의 심리⋅정서⋅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고 심리사회적 적응에 활용할 수 있는 표현예술치료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 a total of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K local children center, who volunteer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whose parent agrees upon it. The control group include eight 1-3 graders of single-parent families utilizing J local children cen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was conducted 15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anuary 2015 to March 2015 for the duration of a hundred minutes for each session.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WIN 22.0 program, applying a non-parametric test and Wilcoxon’s singed-ranks test. For the contextual analysis, Kinetic House-Tree-Persons Drawings(K-HTP) and Kinetic School Drawings(KSD) were conduc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and the changes in the group were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Secondly,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significant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imilies. Thir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gradually improved as the session was carried on and the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attempting to interact with the group. Give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oup Expressive Arts Therapy using a traditional play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that the program can possibly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by expressing dynamic creativity and artistr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so as to prevent their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to help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독립변인-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 예술치료 프로그램
Ⅲ. 연구 결과
1. 집단 표현예술치료 실시 전⋅후 자기효능감 척도 변화
2. 집단 표현예술치료 실시 전⋅후 사회적 기술 척도 변화
3. 전래놀이를 활용한 집단표현예술치료 그림검사(K-HTP/KSD)의 변화
Ⅴ.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한계점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