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Urinary Incontine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Women in a Communit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채명정(Myeong-Jeong Chae) 소향숙(Hyang Sook So) 이지선(Ji-Sun Lee) 이수연(Su-Yeon Lee) 이정화(Jeong-Hwa Lee) 임정인(Je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14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of middle-aged women and identify the quality of lif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58 women, aged over 45 up to 60 residing in Gwang-ju from June 23 to July 23, 2009. Subjects allow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Research tools were consisted of the types and symptoms of incontinence by Song et al. and Sandvik et al.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King s Health Questionnaire(KHQ) being translated into Korean by Oh et al.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5.0 PC+ Windows program. Results :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was 47.5%(Stress U.I. 30.4%, Mixed U.I. 17.1%). There were 75 subjects who suffered urinary incontinence; a slight case was 64.0%, a moderate case 22.7% and a severe case 13.3%. Urinary incontinence was not associ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n normal group and incontinence group, incontinence was associated with BMI(normal group = 22.0, incontinence group=23.2, p < .001) and sex life period(normal group = 22.8years, incontinence group = 26.0years, p = .002). The
scores of quality of life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he types and degrees of incontinences(normal group=66.9, incontinence group=137.8; Stress U.I. =112.6, Mixed U.I.=182.5, p = .001). Conclusions : In middle-aged women, it is important to educate appropriate method to reduce prevalence of incontinence. It is concluded that community-based systematic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having urinary incontinenc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assure high quality of their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혈액투석 환자의 영적 요구와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함수액 종류에 따른 구강간호 효과 비교
- 외국인 이주여성 자녀들의 발달 지연에 관한 예비 조사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결과를 중심으로
- 물질남용 예방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방문간호서비스 지식 및 필요성 인식
-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연구
- 뇌졸중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의 일상생활활동능력 변화
- 한의학적 발병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기능장애 양상
-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