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이용수 17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for Nurses in Hospital Setting.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정수정(Jeong Su Jeong) 김수진(Kim Soo Jin)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14권 제1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of nurses in hospital setting. Methods: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Feb. 1 to 28, 2007 and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667 nurses working at four general hospitals in G city. Research instruments were communication measurement instrument,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and depression measurement instrument. Results: 1)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had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types, depression had significant revers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typ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subjects 4)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ypes. Conclusion: Mental health program at workplace for enhancing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nurses and reducing their depression is required.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V.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혈액투석 환자의 영적 요구와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함수액 종류에 따른 구강간호 효과 비교
- 외국인 이주여성 자녀들의 발달 지연에 관한 예비 조사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결과를 중심으로
- 물질남용 예방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방문간호서비스 지식 및 필요성 인식
-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연구
- 한의학적 발병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기능장애 양상
-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 뇌졸중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의 일상생활활동능력 변화
-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