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이용수 137
- 영문명
- Study on Coronary Artery Restenosis,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Compliance in the Patients received Follow-up Coronary Angiogram after Coronary Interven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남희(Kim Nam-Hee) 박오장(Park Oh-Jang)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14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onary artery restenosis,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compliance after coronary artery interven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151 CDA patients received follow-up coronary angiogram after coronary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terview with questionnaires and the review the medical records from June to August, 2003. Data were analyzed by mean, percent, t-test, ANOVA and Tukey or Sheffe test using SAS program.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in the CDA patients was 25.9 point of 33, and compliance score was 41.6 point of 5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in sex (F = 2.28, p = .024) and education level (F = 4.17, p = .007). Female and higher educat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of male and lower educated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mpliance in age (F = 3.30, p = .013). The patients over 60 age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of 40, 50 and 70 aged. The patients who viewed vascular restenosis were 36.4% and patients who did not view it were 63.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between having the vascular restenosis or not.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was the highest on the risk factor domain (83.6%) and lowest on the medication (69.2%). The frequency of correct answer on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was highest in the confrontation method at the cardiac attack (99.3%) and lowest in the possibility of sexual activity after coronary intervention (36.4%).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related-disease and the compliance according to the vascular restenosis.
목차
Ⅰ. 서 론
Ⅱ. 연 구 방 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혈액투석 환자의 영적 요구와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함수액 종류에 따른 구강간호 효과 비교
- 외국인 이주여성 자녀들의 발달 지연에 관한 예비 조사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결과를 중심으로
- 물질남용 예방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관상동맥 중재술 후 혈관 재협착 여부, 질병관련 지식 및 환자역할행위 이행
-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방문간호서비스 지식 및 필요성 인식
-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및 우울과의 관계
-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요실금과 삶의 질 연구
- 뇌졸중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의 일상생활활동능력 변화
- 한의학적 발병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기능장애 양상
-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