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 및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29
- 영문명
- The Effects of Mindful Yoga on Body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학회
- 저자명
- 장진아(Jin-a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명상학회지』제8권 제2호, 2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과 정서 기제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정서관련 척도인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에는 8주간(주 2회, 70분/회)의 마음챙김 요가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주민자치센터 일반 요가(주 2회, 60분/회)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도탈락 인원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4명(실험 17명, 비교 1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측정도구로는 신체자각(K-MAIA), 정서자각(TMMS), 정서표현(EES), 정서조절(ERS)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자각, 정서자각, 정서표현이 경계선 상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하위요인별로는 신체자각 하위요인 중 감각자각과 심신연결성자각, 정서자각의 하위요인 중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이 경계선 상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신체자각에 중점을 두는 마음챙김 요가가 신체자각의 증진 뿐 아니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mindful yoga, which puts major emphasis on body awareness, exerted on body awareness and emotions. Study was an experimental research designed to see what effects mindful yoga had on body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mindful yoga for 8 weeks (twice a week, 7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who took general yoga programs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t community center.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34 persons (17 from experimental group and 17 from control group). For measurement, K-MAIA(Kim, Sim, & Cho, 2016), Trait Meta-Mood Scale(Lee & Lee, 1997),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Han, 1997), and Emotional Regulation Scale(Im & Jang, 2003) were adopted. As a resul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mindful yog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 the boundary in body awareness, emotion recognition, and emotion expression. As for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oticing subscale and mind-body connection awareness among subfactors of body awareness, and in the emotional perception subscale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cognition. And active way and support-seeking way among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boundary. The study verified that mindful yoga could boost body awarenes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recognitio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