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챙김 기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용수  527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indfulness-based Self-disclosure Training Program
발행기관
한국명상학회
저자명
정준용(Jun Yong Jeong) 김정호(Jung-Ho Kim) 김미리혜(Mirihae Kim)
간행물 정보
『한국명상학회지』제8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억 자기노출 내용에 대해 마음챙김 방식으로 훈련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억제-직면 이론과 기억재응고 이론에 기초하여 자기노출의 심리치료적 기제를 마음챙김 방식과 결합하여 자기노출의 순기능 촉진과 노출의 안전함이 보장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노출 내용을 타인과 미공유하고, 타인으로부터 피드백 받지 않고, 재활성화된 기억에 수반된 생각, 정서, 감각, 심상 등을 마음챙김 명상 방식으로 마음속에서 언어로 자기 자신에게 표현하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은 매주 2회, 회기당 90분, 총 16회기(8주)로 구성하였다. 실현 가능성과 보완점을 확인하기 위해 단일 집단 전후 설계로 65세 이상 스스로 활동이 가능한 재가 여성 노인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평균 연령= 78.3세). 연구결과 노인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 부정정서, 긍정정서, 삶의만족, 삶의만족예상, 심박변이도(HRV) 수준은 전․후의 차이 비교에서 개선된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추후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회기구성, 실행방법 등의 보완점을 확인하고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group training program to encourage self-disclosure of memories using the methods of mindfulness. In this study, based on inhibition-confrontation theory and memory reconsolidation theory, self-disclosure was properly facilitated and feelings of safety were ensured by combining the psychotherapeutic mechanism of self-disclosure with mindfulness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no sharing the details of memories with others, no receiving feedback from others, and expressing one’s thoughts, emotions, senses, and images that were involved in reactivated memories to oneself through mindfulness mediation practice. This program consisted of 16 sessions over an eight-week period; two sessions per week and 90 minutes per session.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to identify shortcomings of the program, we recruited 4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who were aged 65 or above and capable of carrying out daily activities on their own(mean age= 78.3 years). After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ogram, they showed improvements in the levels of geriatric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satisfaction with lif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heart rate variability. Limitations to the program, such as needed improvements to session details and implementation methods were discussed to identify ways to improve the program in the future.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준용(Jun Yong Jeong),김정호(Jung-Ho Kim),김미리혜(Mirihae Kim). (2018).마음챙김 기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명상학회지, 8 (2), 1-20

MLA

정준용(Jun Yong Jeong),김정호(Jung-Ho Kim),김미리혜(Mirihae Kim). "마음챙김 기반 자기노출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명상학회지, 8.2(2018):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