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율평가고사와 전문의 자격고사의 평가도구로써의 타당성 고찰
이용수 9
- 영문명
- Validity of the Intraining Examinations and the Board Examinations -An Experience in the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
- 발행기관
- 한국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전시영(Sea Yuong Jeon) 정명현(Myung Hyun Chung) 김광현(Kwang Hyun Kim) 홍원표(Won Pyo Hong)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제9권 제2호, 151~15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 95년,96년 자율평가고사는 형성적 평가의 도구로서 타당성이 있었다. 2. 2년간 자율평가고사에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에 머무른 사람은 1차 전문의 자격고사에서도 하위권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에 속한 사람들을 확인 할 수 있는 개인별 향상 지수는 형성적 평가척도로서 타당성이 있었다. 3. 1차와 2차 저눈의 자격고사의 성적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두 시험간에 유의한 분별도가 있었다. 그러나 총괄적 평가도구로써는 1차 전문의 자격고사가 보다 더 타당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 has had and experience on intraining examination since 1992. We also had the fortieth annual board examination for specialist in 1997. But we have no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se tests y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ntraining examinations as a tool of formative evaluation, to present a personal progress index demonstrating constructive validity, a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board examination as a tool of summative evaluation. We did statistic analysis on the consecutive personal scores of 1995 and 1996 intraining examinations, and 1997 written and oral board examinations. Analysis of the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distribution curves, and Wilcoxon singed rank test on the scores of 1995 and 1996 intraining examinations demonstrated the constructive validity.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those who had low scores in intraining examinations of two consecutive years had low scores in 1997 board examinations and personal progress index demonstrated the predictive validity.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1997 written and oral board examination. Analysis of the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distribution curves,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evealed that 1997 written board examination had higher concurrent validity than the that of oral examination.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과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