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이용수 10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work by Jo, Hee-Ryong Focused on His Maehwa Painting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미경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8호, 239~2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work by Jo, Hee-Ryong
focused on his maehwa paintings'.
Jo, Hee-Ryong was one of the common artists that grew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He accepted traditional ‘Namjong-Mooninhwa', but through the
strong self-consciousness and subjective point of view, extended his knowledge,
thus developed ‘Muninhwa' into one independent art field.
When looking at his ink pictures of orchids, though his previous works
resemble the works of kim, Jeong-hee, his latter works show that he became
contrary to kim, Jeong-hee and created his own world of art.
From the cultural Confucianism of Joseon, which considered ‘the pursuit of
goodness’ as the highest of worth, he took in ‘the theory of spiritual nature’ and
founded an independent field of art which showed ‘a love for beauty' based on
recognition of beauty, which was an unknown feature at that time.
He drew different styles at the same time. He showed different drawing
styles according to sizes and types of work, such as an axis, connected folding
screen and small piece of painting. He depicted more free style image by
containing simple and nature features rather than manipulating composition
intentionally, with rougher image representing magnificence, ascending spirit, and
radical expression of full inspiration through experimental mind which constantly
studied expression methods about an object in various angles.
So, mind and scriptural characteristics literary artists and Jo, Hee-Ryong
would like to express from good tradition as well as a hobby should be reminded
in these days.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인지행동미술치료에 관한 연구
-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기반한 노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 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작품에서 ‘대상 a’(object a)와 반복 강박적 이미지 분석
- 통합적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