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이용수 340
- 영문명
- The Meaning of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Public Art - A Study of the Christo's Public Project -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기영미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8호, 3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the communication in public art through Christo's public project. The works of Christo have been executed in public places and natural environment out from ‘the white cube', in that they are more a kind of projects in what the whole process is itself a part of art. His public projects use a peculiar method of wrapping. It raised the problem of the publicity of the place, and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s/participants. Here the artist secured finances for himself and the wrappings were removed after a short periods. It was a new way of doing art, where the general public participated in and collaborated in a collective project. with this, the key concept of Christo's project, the expansion of participant, interactivity and collaboration that take place of the concept of artist as a private creator. In short, it is significant that the public art project of Christo not only changed the environment of the sites but extended the meaning of work of art into a social and public realm.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인지행동미술치료에 관한 연구
-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기반한 노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 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작품에서 ‘대상 a’(object a)와 반복 강박적 이미지 분석
- 통합적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