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As Cross-Cultura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실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8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 have taught Kore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four years at a college to th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the classroom setting, I found its cross-cultural aspects of art education such as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their diverse backgrounds and motives of taking the course, and teaching Korean art and culture in English, a foreign-international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 found teaching Korean art appreciation course in English as a practical example of cross-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issu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non-english subjects in English) which is booming in Korea's higher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let students understand Korean art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roducts and basic to human survival and helps the students develop their awareness of their own cultures and identities as well as those of others'. This study suggests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in the classroom with foreign and Korean students as cross-cultural art education is for the students a means to teach tolerance and empathy and a nourishing environment to make global citizens in this inevitably globalized and multiculturalized Korean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인지행동미술치료에 관한 연구
-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기반한 노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 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작품에서 ‘대상 a’(object a)와 반복 강박적 이미지 분석
- 통합적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