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적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24
- 영문명
-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upon Early Child's Self Consciousness and Creative Art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경, 정현영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8호, 189~2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thesis intended to review how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has
an effect upon an early child's self consciousness and creative art expressio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e one in which early children listen to
music, listen to a fairy tale of story-telling style, and express their ideas and
feelings with body, language and art, and it has its objective to suggest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more diverse early child education programs in futu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fant's art activities and music listening. For this
analysis, we divided the class into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argeting 20
infants of mixed class aged 4~5 of K Kindergarten located in Eastern Ward of
Daejeon City and practiced a test on early children's self consciousness and
creative art expression.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upon early children's self
consciousnes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program gave an
effect on an infant's cognitive self, the extent of a person's perception and the
ability to control his or her own feeling or emotion. The overall art expression
attitude marked 2.42 points in the pre-test but marked 3.19 points after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The activities have considerable effects
upon an infant's art expression attitude posi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program grafted to diverse
activities so that it may give an assistance to the infant's self consciousness and
creative art expression and inspire its motivation. For this purpose, we need a
continuous research and concern related to this, an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s targeting not only general children but also handicapped children.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인지행동미술치료에 관한 연구
- 대화중심 미술감상교육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의 치유적 기능에 기반한 노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 미술 감상을 위한 조희룡 작품의 조형성과 예술관 연구
-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작품에서 ‘대상 a’(object a)와 반복 강박적 이미지 분석
- 통합적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창의적 미술표현에 미치는 영향
- 공공미술에서의 집단적 참여와 소통의 의미
- 초등교육단계에서 생태윤리적 관점의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