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년원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예술프로그램의 성격과 목표 구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The Study of the Character and Purpose of Art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Reformato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화식,강선보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9호, 181~2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술 교육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Art)’과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Art)’이 바로 그것들인데 예술을 통한 교육은 전인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방법적 기능으로서 예술이 존재하며, 예술을 위한 교육은 예술 그 자체의 전문성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적 기능으로서 예술이 존재한다(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11). 예술 교육을 도구로 삼아 인성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자는 관념은 과거 고대부터 가졌던 것이다. 예술 교육에는 크게 여러가지 목적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인성교육?도덕 교육이다(김혜숙?김혜련, 2007:73~77).
영문 초록
Reformatory school was changed into the school for custody, personality,
subject,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school for caring and custody as revising
the law of reformatory school on December 31, 1988.
The reformatory school is divided into schools for personality education,
subject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gain.
Although reformatory school is divided into schools as each function, the
center of reformatory school should be personality education.
Even though it is true that personality education in reformatory school is
criticized because they handle and plan personality education without deliberation
and detailed review, they positively use art program as an important tool of
personality education, but they also have the process without clear character and
purpose. Analysis of arts programs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ield has been
somewhat formally said that. Analyzed the nature and content of arts programs for
personality education have chose.
So, the study clarifies understanding personality education in training school,
and what character and purpose art program should have for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I would like to help evaluate, select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pick up the contents of forming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불교 문화 콘텐츠 정체성 정립 기초 연구 - 힙불교 현상과 강진 백련사 사례를 중심으로
- 일본의 판필문자도와 공해(空海)
- 관경십육관변상도에 의한 운주사 천불천탑의 새로운 해석 - 백련결사와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