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미술 교사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8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US Pre-Service Art Teacher Education - The Case of Develop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urriculum -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홍영은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9호, 99~1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 7월 발표한 법무부 보도에 따르면 2010년 상반기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1,208,544명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120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이는 작년 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한국 사회가 급속한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체류 외국인의 증가 추세는 저출산으로 인한 국내 노동인력의 부족, 세계화로 인한 인적 교류 및 이동의 확대, 농촌 미혼 남성의 결혼 수요 등을 고려할 때 지속될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는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들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해왔다. 예를 들어 청소년 상담원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연구’를 보면 일반 청소년들이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을 한국인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18.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다른 문화를 포용하고 배려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cultural functionalities
and diversities are being expanded through art education. However, we need to
look carefully at the many diverse art education programs, and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rt education through continued interest and monitoring
to see whether it is following the desirable path advocated by the many experts.
In the US, the functional role of art education is being expanded so that it
may fulfill the basic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s nurturing racially
diverse students into American citizens, embracing cultural and racial diversities as
well as minorities, and establishing the American cultural identity.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the most prominent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US, that in the New York city and Rochester, New York. We will also
review the administrative and functional role of the art education infrastructure by
studying the preservice art teacher program. In addition, we will investigate what
is meant by “life-connected teaching” that is advocated by some experts, and use
it as the basis to study how a class is developed, and how it affects real
students' learning.
We find tha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necessary conditions.
First, the basic philosophy and concept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Second, a partnership between schools,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need to be established. Finally, sufficient funds needs to be secured to ensure a
high quality multicultural art educ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불교 문화 콘텐츠 정체성 정립 기초 연구 - 힙불교 현상과 강진 백련사 사례를 중심으로
- 일본의 판필문자도와 공해(空海)
- 관경십육관변상도에 의한 운주사 천불천탑의 새로운 해석 - 백련결사와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