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시대 뮤지움과 지역사회 소통의 의미 고찰
이용수 26
- 영문명
- A Study of Communication in Museums and Commun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구보경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9호, 55~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뮤지움의 사회적 역할 중에 하나는 그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지역공동체가 뮤지움이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통해서 다양한 미적, 사회적, 문화적 체험과 관계를 맺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뮤지움은 지역사회에 속한 개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준다(Ambrose & Paine, 2001: 9).
영문 초록
The primary issues for museums of all types are cultural equity and equal
acces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any museums begin to reexamine the
entity we call the community. Museums are public institutions. Their mission to
preserve, exhibit, and interpret these collections for the public-not some of the
public, but all of the public. This study reviewed recent literatures of the role of
museums as agents of social inclus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community is
not only an ethnic group, a neighborhood, or the residents of a defined era. We
find ourselves integrally involved with other and with many different communities
simultaneously. In this regard, museums have the responsibility for coming to
terms with our neighborhood community. Museums should embrace cultural diversities
in terms of their operation, exhibition, program and audience development.
The study represents recent paradigm for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However, mor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programs in the museum environment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Such programs can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new immigrants find themselves in and can offer them an opportunity
to share their cultural identification with their neighbors. Developing the museum
policy and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community are the best contemporary
thinking, then it i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museums for the public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