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BL기반 디자인수업을 통한 아동의 창의?인성 능력 함양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189
- 영문명
- A Case Study of A PBL-Based Design Class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인애,육지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39호, 23~5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가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 아동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이 다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다른 어느 과목보다 창의성이 중요시 되어왔던 디자인수업(Durling, Cross & Johnson, 1996;Fischer, 2004)은 이러한 맥락에서 좀 더 관심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서울시에서는 서울시 교육청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 디자인교과서를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재로 현재 사용되고 있다(손남신, 2009).
영문 초록
Recently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ducating students as new leaders of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in
this context purpos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improving
creativ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ase study which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a PBL(Problem-based learning) based design
education class to 21 elementary students during 16 weeks (2hours a week) as an
after-school program. The PBL based design education was an integrated
teaching-learning approach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education’
(practicality, design proc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d those of PBL
(authentic task, problem-solving process,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Creative
Personality Scale (CPS),’ ‘interviews,’ and ‘students’ outputs (works).’ and
presented that over all, all th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scales
were improved, and especially, imagination and curiosity, the sub-categories of
creativity, and self-confidence and eduratnce as the sub-categories of personality
were distinctive. The study, after all, showed the potential of the PBL 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approach for improving
creative personality of the students within broader and diverse environments of
learn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