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黃賓虹의 美術敎育 思想 硏究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about Art Education of Huang, Binhong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장준석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0호, 399~41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uang, Binhong(1865 -1955) was very important painter in Chinese. He was given great power in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and painting. His teaching was academics, but the academy should not only teach both techniques and regular form, it should also allow the students freedom of self-expression. Huang's own model beauties of nature. He considered, creditable painting was studying ancient and harmonious, Furthermore expressed freedom beauty of self-expression in the heart. That is a Philosophy-education allied to that of Chinese; Painting should be a intrinsic beauty to the Artist as well as viewer. This would seem to be exactly the aesthetic-education approach. These Three art-theory were given great power in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polic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
- 북한미술 현황 연구
- 유아 찰흙활동 지도방법에 관한 모색
- 글쓰기활동이 미술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피바디(Peabody)사절단에 관한 연구(Ⅱ)
- 단군 초상화에 관한 연구
- Arts Propel 교수학습 이론에 따른 한국불교미술문화 감상의 창의성 프로그램 모형
- 통일교육을 위한 미술교과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 제6차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 현대 조형예술에 나타난 ‘우연’에 관한 연구
- 중국 道家의 無爲自然사상과 조선시대 民藝美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비교 연구
- 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화 표현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 미술교육의 새로운 과제: 현대 미술교육
- 슈타이너 교육이념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黃賓虹의 美術敎育 思想 硏究
- 21세기 사회 문화적 현상과 미술교육의 방향
- 예술작품 감상에 있어서 상상하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미국의 최근 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