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화 표현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gram of Fine Art Education for Multilateral Expression centering around Learners through Stimulu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박라미, 이광미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0호, 129~16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21st century is the uncertainty period of post-modernism to break from center, and creative coping ability is required for society members.
Creative coping ability to be period demand is possible when learners are respected and the multilateral thinking of learners may be developed in education. Fine art education enables this multilateral and creative thinking.
Especially, the fine art for children has close relation with the growth of children. This is the expression of inside of them, and it is not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and system planned or defined by adults.
Thinking and expression should be able to be reflected for themselves multilaterally through educationally desirable stimulus. Though the expression of children becomes similar to that of adults, it is insignificant to see it from the context to be same as the fine art of adults. So, in the fine art of childre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undifferentiation and independence are necessary.
Nevertheless, in the actuality of fine art, the viewpoint of fine art which is applied to adults is applied to children still. This means that the motivation of fine art activity which is given to learners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as the general and comprehensive motivation and the fine art activity that teachers lead than the concrete motivation stimulus to consider children.
This actuality gets to show as dependent fine art activity than creative fine art activity with uniform and conceptual expression, and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expression of multilateral thinking.
So, as for the thesis subject that this researcher tries to handle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tries to present the lesson model for active understanding and the coping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and stimulating the diversified thinking to be latent in learners through the educational stimulation of concrete fine art activity.
As for the study contents, this researcher mo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
- 북한미술 현황 연구
- 유아 찰흙활동 지도방법에 관한 모색
- 글쓰기활동이 미술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피바디(Peabody)사절단에 관한 연구(Ⅱ)
- 단군 초상화에 관한 연구
- Arts Propel 교수학습 이론에 따른 한국불교미술문화 감상의 창의성 프로그램 모형
- 통일교육을 위한 미술교과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 제6차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 현대 조형예술에 나타난 ‘우연’에 관한 연구
- 중국 道家의 無爲自然사상과 조선시대 民藝美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비교 연구
- 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화 표현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 미술교육의 새로운 과제: 현대 미술교육
- 슈타이너 교육이념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黃賓虹의 美術敎育 思想 硏究
- 21세기 사회 문화적 현상과 미술교육의 방향
- 예술작품 감상에 있어서 상상하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미국의 최근 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