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바디(Peabody)사절단에 관한 연구(Ⅱ)
이용수 5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Gero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peration Mission(Ⅱ)- With special reference to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숙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0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he follow-up research on the 'Gero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peration Mission( Ⅰ)' (published in 1999),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activities of Mission and it's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Korea.
'The creative art education method' implanted by Peabody Mission in the late 1950s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Korean art education for the past 40 years. Especially significant, the activities of Mr. Don Sudlow who gave a representative class in art and craft, brought a turing point in Korean art education.
In spite of its distinctive contribution, no previous research has touched on the activities of Peabody Mission, inter alia, cases of art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Korea, partly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and disregard of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original historical materials on Peabody Mission, which have been collected since 1997, this study explores and investigates the following three themes.
1. the art education activities of Peabody Mission
2. the cases of art education activities of Don Sudlow
3. the impacts of Peabody Mission on art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clear the activities of Peabody Mission focusing on art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Mr. Don Sudlow on art education, and the Mission's influence on art and craft education in Korea. In these respects, this study has an unique significance. Especially significant,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explores the critical issue in a certain period(1956. 10~1962. 8), which was an inception of research on art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lso has a significance of facilitating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 for the development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art education in Ko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
- 북한미술 현황 연구
- 유아 찰흙활동 지도방법에 관한 모색
- 글쓰기활동이 미술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피바디(Peabody)사절단에 관한 연구(Ⅱ)
- 단군 초상화에 관한 연구
- Arts Propel 교수학습 이론에 따른 한국불교미술문화 감상의 창의성 프로그램 모형
- 통일교육을 위한 미술교과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 제6차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 현대 조형예술에 나타난 ‘우연’에 관한 연구
- 중국 道家의 無爲自然사상과 조선시대 民藝美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비교 연구
- 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화 표현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 미술교육의 새로운 과제: 현대 미술교육
- 슈타이너 교육이념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黃賓虹의 美術敎育 思想 硏究
- 21세기 사회 문화적 현상과 미술교육의 방향
- 예술작품 감상에 있어서 상상하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미국의 최근 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