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
이용수 344
- 영문명
- Application of portfolio in the art class of middle school as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덕, 양윤정, 김성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0호, 243~27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portfolio for the seventh grade art class in junior high school in Korea. Along with the reformation efforts of the national public education program,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ts educational settings for encouraging our students in their creativity. Portfolio is one of the typical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To impro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rading of art activities by students, an evaluator's subjective opinion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and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more rigorous assessment.
This study developed five portfolio performance assessment samples to evaluate the seventh graders' art learning abilities in aesthetic understanding, studio art and art appreciation. The sample includes unit title, contents areas in art curriculum, evaluating grade, evaluating purpose, assessing question, grading standards, assessment tool, and sample answer. Evidence materials like proposal about artwork, report, and self or fellow evaluation report as well as artworks were assessed together at each assessment. Self and fellow evaluation report can supplement a teacher's assessment and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of introsp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art evaluation could be diversified, specialized and characterized by portfolio assessment. Second, portfolio could assess various aspects as activity, thought, feeling and emotion of students, through evident materials, in art process as well as artwork outcomes. Third, performance assessment could be trusted by evidence materials in portfolio and grade standards. Fourth, portfolio assessment make it possible qualitative assessment in art education. Fifth, portfolio make students familiar with subject and participate positive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
- 북한미술 현황 연구
- 유아 찰흙활동 지도방법에 관한 모색
- 글쓰기활동이 미술표현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피바디(Peabody)사절단에 관한 연구(Ⅱ)
- 단군 초상화에 관한 연구
- Arts Propel 교수학습 이론에 따른 한국불교미술문화 감상의 창의성 프로그램 모형
- 통일교육을 위한 미술교과 교수 · 학습 방법 연구
- 제6차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 현대 조형예술에 나타난 ‘우연’에 관한 연구
- 중국 道家의 無爲自然사상과 조선시대 民藝美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비교 연구
- 자극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다각화 표현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 미술교육의 새로운 과제: 현대 미술교육
- 슈타이너 교육이념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黃賓虹의 美術敎育 思想 硏究
- 21세기 사회 문화적 현상과 미술교육의 방향
- 예술작품 감상에 있어서 상상하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미국의 최근 사례로 본 인터넷을 활용한 미술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