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화(名畵)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8

영문명
On How Group Art Therapy cooperated with Appreciation of Famous Pictures Helps Improve preschool Children’s Sociability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황수미,이미옥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5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유아에게 실시하여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에 위치 한 G공립유치원의 만5세 유아 8명을 대상으로 주 4회 60분으로 총 21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E. A. DOLL의 바인랜드 성숙척도(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를 모체로 하여 국내에서 김승국, 김옥기(2002)가 수정한 사회성숙도 검사, 학교생활화(KSD) 검사, 행동관찰을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를 통한 집단미술치 료가 유아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6개 의 하위요인 즉 자조, 이동, 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화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화(KSD) 검사결과 인물상의 행위와 활동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역동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행동관찰을 통한 분석 결과 사회적 행동의 증가로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명화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는 협동작업을 통해 유아들의 타인에 대한 이해와 수용하는 태도를 길러주어 행동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사회 성 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sociability of children who attended at kindergarten if group art therapy to improve sociability by famous pictures exhibition. Study subjects are eight of all 5-year old children who scored low on social maturity scale and were conveniently chosen with parental agreement. Research tools are famous pictures selected in association with their fitness for children and group art therapy. The entire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consists of total 21 sessions, 4 times a week and each session for 60 minutes. Measuring instruments are a domestic version of E. A. Doll\' s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modified by Kim Sung Kook & Kim Ok-Ki(1995), KSD(Kinetic School Drawing), and observation of the subjects\' behavior. For data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on the difference between ratings on Social Maturity Scale and on KSD, while behavioral contents are analyzed through KSD with behavior observ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group art therapy with appreciation of famous pictures exhibit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improvement of preschool children\' s sociality(p<.001 Especially, the subcategory of sociability out of all six subcategories of the test marked the highest(p<.oon As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KSD and behavior observation, there displays a positive change on sociality.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cooperated with appreciation of famous pictures helps kindergarten gain the attitude of being considerate and receptive, so as to improve their sociality and show positive changes on behavior. As a proposal, since there has been no studies on art therapeutic appreciation of famous pictures, though there\'s been a few studies in the dimension of art educational appreciation of famous pictures, it is necessary and desirable to develop group art therapy programs composed of mixture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in artwork while further studies on such programs are being asked for. Key Words : Group Art Th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수미,이미옥. (2008).명화(名畵)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5 (1), 1-23

MLA

황수미,이미옥. "명화(名畵)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5.1(2008):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