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PPAT 그림검사 활용방안

이용수  99

영문명
A Method for Utilizing PP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현주,안이환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15권 제1호, 61~7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1.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PPAT 그림검사를 이용하여 교사의 지도나 상담이 필요한 아동을 확인하기 위한 PPAT 그림검사의 효과적인 활용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253 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학급 내 사회적 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인기아동과 평범아동을 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는 집단(A 집단)으로, 무시된 아동과 배척 아동을 교사의 현실적인 개입이 필요한 집단(B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특성 구분이 PPAT의 형식척도인 FEATS에 의해 구분되는지를 로지스탁 회귀분석을 통하여 예측 • 확인하였다. 또한, 예측에서 빠진 특성들을 찾아내 기 위하여 성별과 집단에 따른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FEATS의 14개의 변인 가운데 색칠정도, 문제해결력, 대상물의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을 먼저 확인한 다음 둘째, 에너지, 통 합, 발달단계를 고려하며 셋째, 성별변인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 의 경우에는 PPAT, KSD, KFD와 같은 그림검사 및 아동에 대한 교사의 관찰을 동시에 고려할 경 우, 일반 교사도 상담이나 지도가 필요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 way to utilize PPAT in finding out children who need guidance of teacher or counsel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hose 253 elementary students in 5th grade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social status. We divided them into A group for popular and average students who did not need teacher\' s assistance and B group for neglected and rejected students who needed teacher\' s practical intervention. And then we predicted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classify the trait of two group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we conducted two-way ANOVA accordant to gender and group so as to find out traits those were dropped in estimation. As the result of it, First, check the prominence of color, ability of problem-solving, and details of objectives and environment in the 14 subscales of FEA TS. Second, consider their implied energy, integration, and developmental level. Third, classify students who need counseling and guidance with reference of gender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general teachers also can find out children who need counseling or guidance if they consider as PPAT, KSD, KFD and refer to their usual observation on them Key Words : PPAT, Social Status, FEA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주,안이환. (2008).초등학교 교사의 PPAT 그림검사 활용방안. 미술치료연구, 15 (1), 61-79

MLA

박현주,안이환. "초등학교 교사의 PPAT 그림검사 활용방안." 미술치료연구, 15.1(2008): 6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