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음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술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99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Activity based on Theory of Mind on the Children ’ s Social Skill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조미애,김혜리,이승복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5권 제1호, 2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1.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성 과의 연관이 밝혀진 발달심리학의 마음이론에 미술기법을 접목하여, 정상아에게
도 사용할 수 있는 사회성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학령기 초기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 60명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마음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술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사회성 향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무처치 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만을
실시하여,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기여하는 정도를 집단간 비교하였다. 검사 항목은 초등학교 저 학년
의 사회성의 지표가 되는 사회행동, 공격성, 공감능력, 학교 생활화에 나타난 사회성 이었고 이들의
사전, 사후 점수를 공변량 분석하여 프로그램 간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마음이론을 바탕으
로 한 미술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무처치 집단과 비교하여, 관습관련 사회행동, 마음이해관련 사회
행동, 학교생활화에 나타난 사회성에서 비교집단과 유사하게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마음 이론을 도입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기존의 치료기법과 유사하게, 학령기 아동의 사회성 관
련 문제에 대한 치료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었고, 향후 자폐증은 물론, 사회성이 부족한 정상아를 위한 미술치료 기법으로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is very essential to develop how our program of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in the development psychology, aims effectively to promote the social skills of normal children. Our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60 first grade-schooler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est group, control group, and free group. The art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was applied to the test group, the control group was trained with the program of art therapy for an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and the free group was only examined without
any training before and after this experiment. Only after executing the program, we discovered the effectively variable analyses of an art activity treatment by comparing the survey items, social behavior, aggression, sympathy, and school life ability, in the early grade-schoolers with the prior results of the same group. The result was that the test group had significantly improved under the art activities as compared with the free groups, from the point of social behavior related with social usage, mind-consideration, and social skill of school life. These studies of the art activity program integrated with theory of mind will contribute toward a
related training of social skills as a therapy technique for children who lack proper social skills.
Key Words : Theory of mind, Art therapy, Art actiuity, Social skil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알코올중독자의 능동적 심상을 통한 자유화 색채특성 연구
-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명화(名畵)감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PPAT 그림검사를 통해 나타난 정상인, 정신분열증 환자, 정신지체인 간의 반응 차이
- 초등학교 교사의 PPAT 그림검사 활용방안
- HLM(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 효과분석
- 라깡(Lacan)의 주체이론이 미술치료에 주는 시사점
-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장애아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고찰
- 마음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술활동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