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상호작용 분석연구: 수학과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192

영문명
Research on classroom interaction of using digital textbook: Focused on math and science teaching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한승연,류지헌,김민정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6권 제3호, 533~5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과 서책형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담화를 중심으로 교실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에 위치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에서 과학과 수학수업을 담당하는 동일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다. 이 교사는 해당 과목의 같은 차시를 각각 디지털 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 관찰하는 동안 서술적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수업의 내용을 비디오로 녹화하였으며, 수업 내용을 전사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 대상의 인터뷰와 학생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수행하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 수업내용에 대한 분석은 수업 중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을 대상으로 언어기능, 인지전략, 사회적 처리의 관점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언어기능의 경우에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수업에서 대체로 조직적 상호작용의 발생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책형교과서를 사용한 수업에서는 그 보다 단순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더 많았다. 인지적 전략의 경우에는 교과영역 및 교과서 종류에 따라서 뚜렷한 일관성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수학과목의 경우에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에서 탐구적 상호작용이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도 교과영역 및 교과서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수업내용에 대한 분석은 교과의 특징 및 단원내용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보편화하여 설명할 수는 없으나,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상호작용과 수업의 과정을 심도깊게 분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classroom interaction occurred in digital textbook instruction and paper textbook instruction by analysing teacher's discourse. The data was collected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outhern Korea. The researchers observed science and math classes taught by the same teacher. The teacher taught same units in both digital textbook instruction and paper textbook instruction. Total of 12 units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To triangulate, multiple source of data was collected including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students. To analyse teacher's discourse, interaction analysis framework(Kumpulainen & Wray. 2002) was employed. The framework categorizes classroom interaction as language function, cognitive process, and social process. In terms of language function, organization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ly occurred with digital textbook, while conventional textbook showed more simple interaction such as responsive.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here was no prominent patterns by types of textbooks. However, in mathematics, there was more explanative interaction with digital textbook. In terms of social process, dominant with conventional textbook in science class and dominant with digital textbook in math class were noted. In math class tutoring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연,류지헌,김민정. (2014).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상호작용 분석연구: 수학과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6 (3), 533-560

MLA

한승연,류지헌,김민정.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 상호작용 분석연구: 수학과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6.3(2014): 533-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