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이 진로장벽, 진로결정,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35
-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Career Course o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수란,정미경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6권 제3호, 409~4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이 진로장벽, 진로결정,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에서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동향을 분석하여 교과내용을 구성하였고,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교양과목인 ‘진로와 창업’을 수강한 75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교양강좌를 수강한 92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한 학기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진로장벽검사, 진로결정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들을 통해 집단 간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교육 교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진로장벽, 진로결정,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밖에도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진로교육교과목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을 유목화하여 진로에 대한 의식 및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이것으로 본 연구의 경험적 결과를 질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 대상 진로교육 교과목을 구성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college career course o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n order to reach to the
objective, contents of curriculum was developed on the basis previous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75 college students, attended ‘Career and Entrepreneurship’, Control group composed of 92
college students, attended other liberal art lecture. To test the effects of the college career course, this
study used career barriers scale, CD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and CDMSE-SE and analyz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this result, the carrier barriers, carrier decision, carri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ri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ve been confirm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 on attending to
college career course. In addition, the categorized reflection of students on joined college career course
through the opened questionnaire shows maturity of carrier attitude, and which was becoming evidence of
the empirical result quality.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base data of college
career cour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화적 역량 모델(Cultural Competence Model)의 특수교육적 함의 탐색
- 중등 특수교사와 사진예술강사의 협력적 사진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정다운 학교의 현황 및 과제: 2018-2024 통합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