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역발상 주제가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0

영문명
The Effect of Creativity-Improvement on Contrary-thinking Theme of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이용운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26권 제3호, 435~4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시간에 역발상 주제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 또 여러 창의적인 기법을 묶어서 적용한 수업과 기법을 각각 분리하여 단일한 기법을 적용한 수업이 창의력 신장 면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세개 중학교의 33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진행을 위해 교사 4명(12개 학급)의 협조를 얻었다. 연구는 2013년 1학기에 4주정도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2학기에 8주정도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발상 주제 수행이 일반적 주제 수행에 비해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을 신장시키는데 p<.01이하에서 효과가 있었다. 또한 2) 통합적(역발상) 과제 수행과 독립적(역발상) 과제 수행 비교에서 자기효능감에서는 두 방법이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창의적인 태도면에서는 P<.05 이하에서 독립적(역발상)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통합적(역발상) 과제 수행 집단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쩨, 역발상 주제가 일반적 주제에 비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둘째, 한꺼번에 다양한 통합적(역발상) 과제를 동시에 제시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선택하는 독립적(역발상) 과제가 창의적인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개인차에 따라 선호하는 방식을 인정하는 수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eachers are never concerned to get student to learn and remember nonsense phrases and contrary word in classroom. But sometimes it may be very important thing on crea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ntrary-thinking theme of teacher as creativity-improvemen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experimental study participating Gangnam-Gu and DongdaeMoon-Gu in Seoul three middle school 331 students and four teacher. The period of the study is for months from August to November 2013, and the experimental period is about 8 week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ollowed. Thre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between students that carried out contrary task and general task. namely experimental group is high (p<.01 under level) control group a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also compare to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 ndependent group i is more effective than (p<.05 under level) combine group(brainstorming and forced connection method technique)in creativity. But self-efficacy is not. As a conclusion, we should apply to various teaching method for creativity improvement. Specially the strength of teacher's convictions in students of creativity is likely affect whether they will even try go cope with given situations. as even the proponents of the study results, what may be a creativity-improvement for one student may be a negative effect for another. A proscribed instruction that make no prediction about the result of following it is clearly useless. therefore study about contrary thinking need to the developmental concer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용운. (2014).교사의 역발상 주제가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6 (3), 435-462

MLA

이용운. "교사의 역발상 주제가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6.3(2014): 435-4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