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통합적 적용 사례 연구
이용수 215
- 영문명
- Exploring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Integration of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이준,유숙경,이윤옥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6권 제3호, 463~4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을 분석하고, 수업의 특징을 도출하여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연계한 수업 방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의 과정에서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중등학교 교사 6명의 수업 내용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여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연계한 수업 방법의 실천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이 연계된 수업활동의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을 연계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공감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과 관련시켜 재구조화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현장의 수업은 교사와 학생간, 학생 상호간 의사소통이 존중과 배려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이러한 수업은 소통하는 교실분위기를 조성하고, 교사와 학생의 삶에 변화를주며, 학습동기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hool classes where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re integrated, to suggest methods for connecting or integrating subject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o draw discussion points. To do this, class videos, interviews, and written materials from the six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connect or integrate subject and character education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asses for connecting or integrating subject and character education
are characterized by students empathy-centered class design. These classes focus on designing class contents
and activities in order for students to empathize with them. Specifically, class contents are reorganized so
that they can be more related to everyday lives.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s' lives and empathetic
strategies are used as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Interactive feedback encourages students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to empathize with different points of view. Secondly,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classes show that there is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among students. They understand other's perspective(with empathetic attitude), listen to
each other courteously, use respectful way of speaking, keep eye contact when talking to each other, and
have a warm smile. Thirdly, teachers are motivated to connect or integrate subject and character education
as they wanted to make their classes better and realized teacher's attitude and way of speaking affect
students' attitude and learning. Through these classes, teachers became more respectful to students,
improved relationship with students, shared feelings with each other, became more empathetic with
students, and more communicative, which make classes more relax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화적 역량 모델(Cultural Competence Model)의 특수교육적 함의 탐색
- 중등 특수교사와 사진예술강사의 협력적 사진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정다운 학교의 현황 및 과제: 2018-2024 통합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