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탐색 연구

이용수  1,057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김종훈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105~14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의 하나로 협동학습의 타당성을 탐색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세계시민교육은 유엔(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4.7에 포함된 글로벌 교육의제로 그 역할과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공교육 과정에 반영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안)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협동학습은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인 책무성, 집단과정, 촉진적 상호작용,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을 본질적 요소로 하는 구조화된 교수학습 모형으로 그 자체에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 학습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른 어떤 교수학습 모형보다 세계시민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임을 분석․규명했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들 중에서 직소 모형을 적용하여 인류 및 자연의 역사가 집약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소재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안)을 개발․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안)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정체성형성, 타인에 대한 이해, 책임의식 함양, 지역․국가․세계차원에서 공동체간의 상호작용과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연계를 강화하여 학습자 중심의 변혁적 세계시민교육 구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cooperative learning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and to suggest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in an educational setting. With the inclusion of GCED as part of global education agenda through the UN SDG 4.7, its role and importance has been highlighted globally and many countries started to reflect GCED into their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re is lack of practical research on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GCED that can be applie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alyzed and identifi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appropriate i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in comparison with oth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because of its efficient learning structure which includes 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group processing, promotive interaction, interpersonal and small group social skills as its essential elements. On the basis of this, jigsaw model, among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as applied and a lesson plan on GCED based on UNESCO World Heritage, an important repository of the history of humankind and nature,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proposed lesson plan would strengthen learners’ ability to shape identities, understand others, raise sense of responsibility, link knowledge and action related to issues affecting interaction and connectedness of communities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in an educational setting, and thus it will be useful in actualizing the learner-centered transformative objective of GC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세계시민교육과 협동학습
Ⅲ.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적용 교수학습(안)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훈. (2018).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탐색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3 (1), 105-145

MLA

김종훈. "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탐색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3.1(2018): 105-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