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클러스터 교육과정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실천 사례분석과 쟁점: 경기도 A고등학교 ‘사회과제 연구’과목을 중심으로
이용수 206
- 영문명
- The Analysis of Practice and Issue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ith a form of High School Cluster programme in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 김희경 박형민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71~10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동안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실천 과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정책과 예산이 투입되어온 클러스터형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연구와 교수학습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현장의 맥락에 대한 반성적 연구는 미흡했다. 본 연구는 국제이해교육
실천사례 중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클러스터를 통한 국제이해교육 활동사례의 실제와 쟁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경기도의 A고등학교에서 3년 동안 실시한‘사회과제 연구: 국제이해교육프로그램’의 강사로 활동한 경험을 기초로 수업 실제의 역동성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 수업 참여환경 측면, 둘째, 교수학습의 구조적 난관과 도전 측면, 셋째,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평가틀 측면, 넷째 외부 교수자에 대한 빈약한 지원체계 측면에서 쟁점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외부교수자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학교현장에서 활용되는 국제이해교육콘텐츠와 실천현장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 교강사들 간 네트워크 체계 구축 등 국제이해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과제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differ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feature and issues 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ith a form of High Cluster programme.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practice and issues of th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A-high school in Gyeonggi-do. The authors of this paper have participated with developing the programme and teaching for three years in person. Major findings revealed four issue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passive attitude and mundane fatigue prohibited their in-depth learning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its contents. Second, due to heavy pressur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reparation of university entrance exam,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re positioned within marginal sector in Korean high schools, which increase instructor s teaching load in order to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ird, absence of diverse evaluation framework would produce confusion of outcom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the high school. Finally, lack of support for instructors can cause low quality of education programm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클러스터형 국제이해교육의 실제 및 특성
Ⅳ. 교육실천 과정의 쟁점과 이슈:거시적 학습환경과 미시적 교수학습 맥락
Ⅴ. 결론: 국제이해교육에의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