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 모형개발

이용수  361

영문명
Development of Holistic Pedagogy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in the 21st Century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김다원 이경한 김현덕 강순원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 글로벌 시대정신을 함의한 틀로 국제이해교육을 재개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홀리스틱 페다고지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델파이 조사, 국내외 관계자 심층인터뷰(FGI), 현장 참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련의 세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를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첫째,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의 지향점은 ‘글로컬 시민성 함양’이다. 21세기 사회는 세계화의 연장선상에서 그간의 세계화가 다소 일방적인 방향의 영향력이 있었던 데 반해, 오늘날에는 세계와 로컬 간, 지역 간, 국가 간, 개인 간, 시민사회 간 등 다양한 층위에서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에 의거하여 글로컬 시민성을 지닌 인간육성에 교육의 목적을 두었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은 지구시민으로서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다양성을 인정, 존중하는 태도, 자연환경과의 상호관계를 인식하여 공존하려는 적극적인 태도와 실천을 강조하는 교육원리를 토대로 삼는다. 이러한 교육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으로 홀리스틱 교육과 유네스코의 학습 근간 4기둥을 활용하였다. 셋째, 교육영역에서는 세부적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교육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 행동 영역의 4개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육 내용에는 글로컬 기반구축, 글로컬 의식화, 글로컬 이슈의 3개 주제를 설정, 제시하였다. 이러한 3개의 대 주제들을 4개의 학습근간과 연결하여 지역적 상황, 시대적 상황, 학습자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세부주제를 설정하여 교육할 수 있게 유연성과 개방성을 고려한 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수방법에서는 글로컬 시민성 함양에 필요한 능력을 길러내기 위한 전략으로 비판적 사고, 적극적 참여/포용, 협력적 태도, 변혁적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국제이해교육의 재개념화에 기반한 21세기에 적합한 국제이해교육 실천적 모형 개발은 학교, 평생교육기관 등에서 향후 진전될 국제교류나 글로벌 연대 및 지원활동 및 국제이해교육 자원인사연수를 보다 혁신적으로 접근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EIU as a framework having global spirit of the 21st century and to develop a new holistic pedagogy applicable to various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 with domestic and foreign EIU experts, and field participation study were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 holistic pedagogy for EIU in the 21st century.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of EIU in the 21st century is ‘to cultivate glocal citizenship’. Today, globalization is being achieved through interactions on various levels; that is, between world and local, between regions, countries, individuals, and civil societies. Because of this periodical change, EIU in the holistic model employs both global and local (glocal) perspectives in its aim. Second, EIU ultimately aims at cultivating ‘citizens’ who can embrace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acknowledge diversity, try to coexist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recognizing a mutual relationship. Holistic education and UNESCO s four learning pillars are used for a new practice of EIU. Third, specific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are presented for the holistic pedagogy of EIU.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 set in four areas: knowledge, skill, attitude/value, and action.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developed to include three topics: glocal provision, glocal conscientization, global issues. In addition, a new learning model is presented connecting the three main contents with four learning pillars, and this learning model is designed to have flexibility and openness depending regional situation, time situation and learner s situation. Fourth, as for the teaching approach to cultivate glocal citizenship, critical thinking, active participation/ inclusion, cooperative attitude, transformational approaches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model for EIU ba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EIU in the 21st centur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innovative approach for international exchange, global solidarity, global supporting activities, and EIU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for formal and non-formal school curriculum for EIU.

목차

Ⅰ. 서 론
Ⅱ. 홀리스틱 페다고지에 대한 이론적 접근
Ⅲ.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의 방향
Ⅳ. 국제이해교육 홀리스틱 페다고지 모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원,이경한,김현덕,강순원. (2018).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 모형개발. 국제이해교육연구, 13 (1), 1-40

MLA

김다원,이경한,김현덕,강순원.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홀리스틱 페다고지 모형개발." 국제이해교육연구, 13.1(2018):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