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istamine에 의한 적혈구 취약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Osmotic Fragility of the Red Blood Cell in Histamine-treated Rabbit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안승운(Ahn, Seung-Woon) 김중수(Kim, Joong-Soo) 김기곤(Kim, Ki-Kon) 이순재(Lee, Soon-Jai)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9권 제1호, 33~3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dult rabbits were anesthetized with nembutal, 30 mg/kg. Carotid artery and jugular vein were exposed surgically and cannulated with polyethylene tubing. Arterial blood pressure was recorded via pressure transducer on the physiograph and 100μg/ml of histamine solution was infused through the jugular vein by using the constant infusion pump with a rate of 0.92 ml/min or 1.40 ml/min.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as maintained at 40 ~ 70 mmHg and hypotension was kept for 2 hours. After the termination of this period, blood was taken and osmotic fragility was mea sured immediately. Also, every sample of normal blood and shocked blood was incubated for 1 hour or 2 hours at 37℃ in order to see whether or not there was some influence of incubation. Furthermore to clarify which component was responsible for the change on the fragility, the mixtures of normal blood cells with shocked plasma and shocked blood cells with normal plasma were also incubated at 37℃ for one or two hours and fragility in such cases was measure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sed by probit-plot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saline solution at which the hemolysis started to occur, 50% of blood cells were hemolysed and that at which the red blood cells hemolysed completely were determined. The values for the blood of hypotension stag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bloo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ellows: 1. Osmotic fragility of red blood cell was increased in hypotensive state induced by histamine. 2. The differences of osmotic fragility after two hours of incubation were negligible both in normal blood and in that of hypotensive state. 3. Osmotic resistance of normal red blood cell incubated in shock plasma was less than that of shock red blood cell incubated in normal plasma. It was suggested that plasma in hypotensive state caused by histamine might b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alteration of red blood cell fragi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라에서 본 관류액(灌流液) pH와 심장박출량(心臟搏出量)
- 인삼(人蔘)이 흰 생쥐의 운동능력(運動能力) 및 유산생성량(乳酸生成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수원지역 여자 중학생의 총지방량 측정
- 뇌 해마가 제거된 흰쥐의 전기충격에 대한 내력(耐力)
- 가축과 실험동물의 생리자료(11)-3 - 제11장 토끼(The Rabbit)-3 -
- Histamine에 의한 적혈구 취약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여자의 소금 및 질소대사에 관하여
- 히스타민이 혈류역학 및 심전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적출된 토끼와 자라심장에서의 Ca++ Pool
- 임파유통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토끼 적혈구막의 (Na++K+-ATPase의 active center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1, 2학년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가부장적 사고, 아동 권리 인식이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적인 책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자기효능감 및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