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사의 TPACK 인식 분석
이용수 440
- 영문명
- A Survey on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PACK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조성기(Sunggi Cho) 정선아(JungSeon ah)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9호, 135~1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16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기반의 현대사회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역량으로서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에 관한 연구로, 중등음악교과의 TPACK대하여 음악교사의 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논의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PACK의 7개 구성요소(TK, PK, CK, TPK, TCK, PCK, TPACK)에 대하여 71명의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각 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테크놀로지지식(TK)의 경우 남자 교사가 여자 교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으며, 음악교사의 세부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내용교수지식(PCK)의 경우 교직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경력이 많은 교사가 더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PACK의 각 지식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PCK를 제외한 각 지식들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TPK와 TPACK가 보다 더 높은 상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as teachers competency emphasized in the technology bas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PACK and discuss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find music teachers competency for TPACK of secondary school music curriculum. To achieve that, this researcher surveyed and analyzed 71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each one of seven TPACK components(TK, PK, CK, TPK, TCK, PCK, and TPACK).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le teachers had significantly more percep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TK) than female on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detailed major of music teachers. In addition, regard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ing career. In other words, the more career the teachers had, the more perception they ha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orrelations between TPACK components, all components but PCK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PK and TPACK had higher correlation. Given the analysis results, to enhance music teachers TPACK competency, it is judged to make an effort to help them to have positive attitude and confidence of technology and to experience and apply a variety of technologies for music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교사의 TPACK 인식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과의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시설청소년의 자기표현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집합이론의 음악분석 수업을 위한 학습도구의 제안
-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인성 변화 조사
- 국내교육대학원음악교육전공석사논문의주제유형 조사연구
- 음악교사의 TPACK 인식 분석
- Charles Everett Gilbert의 제주 관악대 업적에 대한 내러티브와 평가
- 대학생들의 음악 감상활동 및 초중고교 음악교과와의 관계
- 예비교사들을 위한 시창·청음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합창 활동을 위한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