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과의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이용수 954
-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n Models of Instruction for Instrumental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정진원(JinWon Chung) 승윤희(Yunhee Se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9호, 115~1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16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수업모형(models of instruction)을 이해하고, 음악과 수업모형 중에서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는 수업의 구조 및 실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동안 음악과의 수업모형 관련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음악과의 수업모형은 음악 교수 학습의 목적과 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을 반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 의미에서의 수업모형뿐만 아니라 음악과에 특화된 수업모형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또한 음악과의 수업은 크게 가창, 기악, 감상, 창작 활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악기를 다루는 기악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악기의 특성을 이해하게 하고, 악기의 기본 주법을 익히게 하며, 반복 연습을 통해 기초 기능을 습득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악곡을 연주하게 하는 활동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악학습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모든 교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수업모형이나 가창, 감상, 창작수업 모형과는 차별화된 기악수업 모형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악학습의 심동적 발전단계와 학습 원리에 기반을 둔 기악수업 설계모형의 탐색 및 구체적인 단계별 적용 지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general meaning of models of instruction and to seek for a method specifically for instrumental learning apart from models of instruction within the music department. Studies on models of instruction carry an important meaning regarding the structure and reality of a class. So far,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that studies on models of instruction in the music department hold, the reality is that not a great deal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ince models of instruction for music class should reflect the basic philosophy of the purpose and process of music teaching methods, there is a need for a specialized model of instruction targeting the music department, apart from the general meaning of models of instruction. Additionally, instructions for music class can be categorized into singing, instruments, listening, composing etc. Among these, instrumental learning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the instrument, familiarize themselves to the instrument’s playing style, acquire fundamental skills through repeated practice and play various types of tun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strumental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a differentiated model of instruction learning a musical instrument and singing, listening and composing, apart from the general model that can be used in all departments. Hence this study has displayed the investigation of design model of instrumental learning and the detailed stage application of guidance based on the psychomotor stage of development and study principle of instrumental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수업모형의 이해 및 유형 분류
Ⅲ. 음악과 수업모형과 기악수업의 모형
Ⅳ. 연주기능의 습득과 발달을 위한 기악수업 설계모형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과의 기악학습을 위한 수업모형 탐색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시설청소년의 자기표현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집합이론의 음악분석 수업을 위한 학습도구의 제안
-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한 비행청소년의 인성 변화 조사
- 국내교육대학원음악교육전공석사논문의주제유형 조사연구
- 음악교사의 TPACK 인식 분석
- Charles Everett Gilbert의 제주 관악대 업적에 대한 내러티브와 평가
- 대학생들의 음악 감상활동 및 초중고교 음악교과와의 관계
- 예비교사들을 위한 시창·청음 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 합창 활동을 위한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