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2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n`s Sing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부연 김소영 최남정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37권 제0호, 303~3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래는 인간의 사회적 언어와 심미적 기능의 중간지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능적 소리에 멜로디와 이야기를 담은 인간의 독특한 삶의 양식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새 노래 배우기나 교사주도의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노래의 단편적 접근을 넘어서서 교실의 주체인 유아가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곳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각 한 교실씩 전체 네 교실을 각각 7회기씩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아들은 즐겁거나 몰입하였거나 노래를 부르고 싶다는 내적동기가 발생할 때 노래를 부르는 미적경험으로서의 노래와 또래문화를 만들고, 대중문화를 즐기고, 독창적 문화를 형성하는 문화로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실에서 유아들의 삶을 풍요롭게 의미화 해주는 심미적 매개자인 노래의 교육적 의미는 유아를 둘러싼 또래와 가정, 지역과 사회적 삶의 문화의 지표로 보다 확장되어 이해되어야 함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various ways of singing sung by childre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e singing as one of activities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viewed as more than the music. It is one of way of reflecting children`s life and story as children utilize them in various ways for joyful play, and knowing. The study took about 10 weeks to collect the data, which involve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video-taping, and researcher` journ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 are very capable of using singing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teachers and peers in closer ways. They are also able to utilize singing to make boring time joyful and to make a strong friendship.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more attentive to children`s singing, as more than music but as the expressing their joyful knowledge, intelligent and aesthetic mind.
목차
Ⅰ.서 론
Ⅱ.연구방법
1.연구참여자
2.연구절차 및 자료수집
3.자료분석
Ⅲ.연구결과
1.미적 경험으로서의 노래
2.문화로서의 노래 즐기기
Ⅳ.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 중,고등학교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모형개발
-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초등음악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을 위한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음악개념학습이 음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현상학적 연구
- 교사용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 라이겐의 유아교육학적 의미
-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음악교육의 위기
- 코다이 합창어법과 연계된 헝가리 음악교과서 내용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