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22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appella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조순이(Sun I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37권 제0호, 277~3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떻게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음악활동 및 음악지도가 가능할지 모색해보았다. 그리하여 `언어, 움직임 및 음악이 통합된 교육`에 원리를 둔 오르프 교수법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자율적인 표현과 상상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여기 제한된 지면(논문)을 통해서는 많은 연구 결과물 가운데 일부 사례를 소개하면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핵심 연구과정을 재고하려고 한다. 그로써 시각장애인은 물론 다른 장애인들과 같이 현대의 문화·예술적 혜택에서 소외된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시도들이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program in A-cappella vocal education as part of cultural arts programs for the visually challenged. Based on the outstanding hearing ability of visually challenged people, the program was to develop their musical sensitivity and offer them opportunities for musical activities so as to enjoy sounds on their own in the long run. In particular, A-cappella which is sung without any musical instruments, helps not only improve an individual`s musical talent, but als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society) by leading people to learn how to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care for one another. Furthermore, the aforementioned A-cappella vocal education is expected to produce more effective educational results, being closely connected to the Orff teaching method whose basic principles are from the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movement and music. As today`s music education should go beyond simple voice training and vocal education and embrace holistic education that encompasses physical activity, language learning and related mental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be equipped with features of an integrated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visually challenged that have few opportunities for movements, this kind of integrated experience is highly required. Therefore, as part of preparatory activities, every researcher taking part in the present study received training in the Orff teaching method while being advised by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raise his understanding of the visually challenged, and hence they tried to develop a more suitable educational program for them within a limited time frame. When professional A-cappella instructors who can care for others and open up themselves are produced and when the visually challenged can actively take part in physical and musical activities, it is my belief that our society will be more beautiful. With this A-cappella education program as a start,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various arts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subsequent research, which can have disabled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not lacking or incompetent, but they can explore their talent and contribute to the society.
목차
Ⅰ.서 론
1.연구목적과 방법
2.선행연구에 대한 조사와 연구활동의 진행계획
Ⅱ.본 론
1.연수(워크숍):특수 교육 및 오르프 교육 연수
2.교육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내용
Ⅲ.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 중,고등학교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모형개발
-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초등음악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을 위한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음악개념학습이 음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현상학적 연구
- 교사용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 라이겐의 유아교육학적 의미
-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음악교육의 위기
- 코다이 합창어법과 연계된 헝가리 음악교과서 내용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