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초등음악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lementary Composition Program Based on Arts PROPEL on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혜(Ji Hye Jeo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37권 제0호, 245~27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츠 프로펠의 학습방법을 적용한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김포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35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아츠 프로펠의 학습방법을 적용한 창작프로그램이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부분적으로 효과적이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상활동과 창작활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되며 자기조절적 기제 수행능력을 발달시켜 자기 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composition program based on Arts-PROPEL learning methods on student`s self-efficac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6th grade 35 elementary students of Y School in Kimpo City. Tests used in pre- and post-test was applied in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ary composition program based on Arts-PROPEL learning methods similarly increased self-control efficiency (t=3. 44, p<0. 001)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3. 48, p<0. 001).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conducted to overcome the statistic analysis result. First, the elementary composition program based on Arts-PROPEL learning methods is helpful in getting interest and enhancing self-confidence for listening and composing. Secondly, the elementary composition program based on Arts-PROPEL learning methods helps in self-directed learning.
목차
Ⅰ.서 론
Ⅱ.이론적 배경
1.자기효능감과 아츠 프로펠의 이론적 특징
2.음악교육에서의 아츠 프로펠과 자기효능감
Ⅲ.연구 방법
1.연구 대상 및 기간
2.연구 설계
3.검사 도구
Ⅳ.연구 결과 및 분석
1.자기효능감 사전-사후검사 결과
2.질적 분석 결과
Ⅴ.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 중,고등학교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모형개발
-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초등음악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을 위한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음악개념학습이 음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현상학적 연구
- 교사용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 라이겐의 유아교육학적 의미
-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음악교육의 위기
- 코다이 합창어법과 연계된 헝가리 음악교과서 내용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